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ADsP] 자격증 공부 후기

by 미동동 2023. 10. 13.

ADsP란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의 약자로 한국말로는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입니다.

 

해당 자격증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의 자격증입니다.

 

1. 응시자격

제한없음

 

다른 자격증들은 실무경력이라거나 졸업자나 졸업예정자와 같은 응시자격이 있지만 ADsP의 경우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습니다.

 

2. 합격기준

총점 60점 이상

과락기준:과목별 40% 미만취득

 

합격기준으로는 여느 자격증처럼 60점 이상을 맞아야하며, 과락이 존재합니다. 70점을 맞더라도 한 과목에서 40%이상 맞지 못하면 불합격입니다.

 

3. 시험빈도

시험은 일년에 4번이 있고, 3개월에 한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올해에는 2월 5월 8월 10월이었습니다. 저는 8월 시험을 봤습니다.

 

4. 시험형식

ADsP는 100% 필기입니다. 문제는 객관식+단답형인데

객관식은 4지선다이며, 객관식 40문제 + 단답형10문제입니다.

3과목에 실습내용이 있어서 공부를 할때에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5. 시험시간

시험시간은 한시간반, 90분입니다. 저는 기출문제 풀때도 그렇고 시험장에서도 시간이 부족한적은 없었습니다.

 

6. 응시비용

시험 응시비용은 50,000원입니다.

 

7. 시험내용

1과목 데이터의 이해

2과목 데이터분석 기획

3과목 데이터분석

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앞서 말했듯 3과목은 프로그램을 쓰는 내용으로 실습에 가까운 필기과목입니다.

 

8. 공부방법

이렇게 시험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제는 제 개인적인 공부방법과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저는 통계학과 학생으로서 해당 자격증이 필요할 것 같아서 준비하고 응시했습니다.

 

저는 1,2,3과목 순서로 공부를 했는데, 저보다 먼저 이 자격증을 딴  김비전공자 친구의 말에 따르면

3과목을 먼저 공부하고 1,2과목을 공부하는 순서가 더 좋았다고 하더라구요. 막상 공부를 해보니 저도 3과목부터 하는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비전공자의 경우 3과목->1과목->2과목을 추천드립니다.

전공자면 순서를 크게 안따져도 될 것 같지만 전공자도 3과목->1과목->2과목 순서의 공부 추천드립니다.

 

제가 느끼기에는 전공 내용과 많이 겹쳐서 공부가 막 엄청 필요하지는 않았는데 비전공자 친구는 두달 준비했다고 하더라구요.

 

1,2과목이 이론이라 암기해야하는 내용이 많아서 저는 최대한 시험 가까운날 공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과목의 경우 R을 사용하는 문제가 많아서 R과 RStudio를 설치후 기출문제에 있는 코드들을 실행 시켜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저는 이론은 최대한 적게 보고 기출로 바로 넘어가서 기출 박치기를 하는편인데 해당 자격증은 기출박치기보다 1과목이든 3과목이든 먼저 이론을 충분히 숙지하고 기출로 넘어가는 것을 추천드려요

 

저의 공부방식

1. 1과목부터 3과목까지 훑어보고 몰랐던 내용 밑줄 그어가며 암기

 

2. 기출 박치기, 기출을 풀고 틀린 문제를 정리하고 문제를 암기

 

3. 기출에 나왔던 모든 단답형 정리후 암기

 

기출을 풀면서 느낀점은 단답형이 생각보다 꽤 어려웠다는 것입니다. '단답형을 포기하고 객관식을 다 맞아볼까'하는 생각도 했었는데 그러기에는 객관식을 거의 다 맞아야겠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시험이 이틀정도 남은 날부터 풀었던 기출에 나왔던 모든 단답형문제들을 한글파일로 정리해서 외웠습니다.

기출로 풀때는 쓸 수 있던 단답형문제들이 없었는데 이틀전부터 단답형문제 위주로 봐서 그런지 시험장에서는 거의 다 적고 나왔습니다. 기출 점수가 너무 안나와서 걱정을 많이 했었는데 다행히 70점으로 합격을 했습니다.ㅠㅠ

 

책추천

ADsP는 민트책이 유명하다는 것을 들었었는데 책안사고 합격해보겠다고 고집부리다가 기출이 필요해서 구매했습니다.

막상 사고나니 기출도 기출이지만 이론 내용도 상당히 잘정리되어있어서 이론부분에서도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이 책이 오탈자가 많다고 하는데 저는 그냥 납득하면서 공부하는 편이라 오탈자는 공부하면서 느끼지 못했습니다...

짧게 다시 정리하자면

1. 이론->기출2~3회, 오답노트-> 이론->기출2~3회 느낌으로 공부 추천

2. 3과목은 R을 직접 다운받아서 실습해보는것 추천

3. 단답형은 시험 며칠전부터 암기 추천

4. 기출은 책에 있는 기출 전부 풀어보는 것 추천

 

이정도 추천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신 분들 모두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